메리_99 2021. 2. 11. 17:01
반응형

SECTION01. IP주소

IP주소 :  TCP/IP라는 프로토콜을 만들 때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장비들을 구분해주기 위해서 만들어낸 것

  • IP주소는 원래 이진수 32자리(8자리마다.)로 되어 있지만, 우리가 보통 쓰는 IP주소는 이진수를 다시 십진수로 쓰는 방식이다.

  •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뉜다.

    • 네트워크 부분 : 하나의 브로드 캐스트 영역(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뿌렸을 때, 그 데이터를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받을 수 있는 영역)

    • 호스트 부분 : 각각의 PC 또는 장비

      • Ex) 203.240.100.1에서 네트워크 : 230.240.100.0, 호스트 : 203.240.100.1

 

SECTION02. 라우터에 IP주소를 배정하는 규칙

  • 라우터에서 외부 망으로 가는 곳 : 시리얼 인터페이스

    • 상대편의 라우터의 시리얼과 같은 네트워크(ISP업체에 따라 달라짐)

  • 라우터에서 내부 망으로 가는 곳 : 이더넷 인터페이스

    • 보통 맨 앞의 번호

    • Ex) 부여 받은 주소가 203.120.150.1 ~ 203.120.150.255이면 라우터의 이더넷 주소는 203.120.150.1이다.

SECTION03. IP주소의 클래스 구분

IP주소의 클래스 구분 : A, B, C, D(멀티 캐스트용), E(연구용)

A

  • 하나의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 수가 가장 많은 클래스

  • 32개의 이진수 중에서 맨 앞쪽 하나가 항상 0으로 시작한다.

  • Ex) 0 xx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

    • 1.0.0.0 ~ 126.0.0.0(0.0.0.0 제외, 127.0.0.0 제외, 호스트는 0)

  • 클래스 A

bit 1 7 24
  0 Network Host
    1~126 수 : 16,777,214

B

  • 맨 앞이 반드시 10으로 시작

    • Ex) 10x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

      • 128.0.0.0 ~ 191.255.0.0

  • 클래스 B

bit 1 1 14 16
  1 0 Network Host
      128.1 ~ 191.255 수 : 65,534

 

C

  • 맨 앞이 110으로 시작

    • Ex) 110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.xxxx

      • 192.0.0.0 ~ 223.255.255.255

  • 클래스 C
bit 1 1 1 21 8
  1 1 0 Network Host
        192.0.0 ~ 223.255.255 수 : 254

 

IP 주소 클래스별 정리

  • A : 1 ~ 126(127은 예비 번호)

  • B : 128 ~ 191

  • C : 192 ~ 223

  • D : 224 ~ 239(멀티 캐스트용)

  • E : 240 ~ 255(연구용)

SECTION04. IP주소의 활용

  •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두 장비 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

  • TCP/IP 통신을 할 경우,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 역시 IP주소를 부여해 주는 것이 좋다

    1.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부여할 때는 그 인터페이스가 속한 네트워크의 주소를 부여해야 한다.

    2. IP주소를 배정할 때는 그 네트워크에 몇 개의 호스트가 접속 가능한지를 먼저 확인한 후에 배정하는 주소가 이 호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.

※GateWay : 내부 네트워크에서 없는 녀석을 찾을 때 밖으로 통해 있는 문,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

※ 라우터에서는 인터페이스 별로 각각 IP주소를 배정하지만, 스위치나 허브는 IP주소를 장비별로 하나씩 배정한다. 또 이런 스위치나 허브에 IP주소를 배정하는 이유는 단지 관리를 위함이기 때문에 배정하지 않아도 통신에 전혀 지장이 없다.


글은 "후니의 쉽게 CISCO 네트워킹 진강훈 지음" 공부하며 글입니다.

 

728x90